시각장애인의 컴퓨터 활용

HOME > 웹 접근성이란 > 장애인의 웹사이트 이용 이해 > 시각장애인의 컴퓨터 활용
시각장애인의 컴퓨터 활용 동영상 - 저시력인

동영상 안내

시각 장애인의 컴퓨터 활용 - 저시력인

시각장애인 중에는 앞을 전혀 볼 수 없는 사람이 있지만 잔존 시력이 남아 있어도 물체를 제대로 볼 수 없는 사람이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물체를 볼 때 중심이 보이지 않는 경우와(황반원공, 황반부 변성, 시신경병증, 시신경염) 물체의 중심 부분은 제대로 보이나 주변부가 보이지 않는 경우(녹내장, 망막색소변성증, 시로질환), 눈의 빛이 통과하는 기관에 혼탁이 생긴 경우(각막혼탁, 각막변성, 백내장, 유리체 출혈, 유리체 혼탁), 비특이성 시각장애(당뇨병성 망막증, 합병성 망막증, 미숙아 망막증, 시신경위축, 합병성 안구외상 및 염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한가지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어려움이 배가 됩니다. 이러한 증상이 있는 저시력인들은 일상생활에서 각종 광학 보조기구를 활용합니다.

확대경(손잡이형, 스탠드형, 조명이 있는 것과 없는 것 포함), 망원경(손잡이형, 안경장착형,전시야형), 확대독서기

저시력인들의 컴퓨터 활용상 화면 색상(배색)과 크기에 관하여 어려움을 갖습니다. 저시력인들이 Windows를 활용하는 경우 먼저 앞을 전혀 못보는 시각장애인과는 달리 마우스를 활용합니다. Windows에서 제공하는 마우스 포인터 중에서 반전(특대)을 사용하면 마우스가 크고, 뚜렷하게 색상 대비가 되어 저시력인들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화면 색상에 관한 어려움은 Windows에서 가지고 있는 고대비를 활용합니다. 여러 가지 화면 배색 방법 중 하나인 고대비를 활용하면 화면의 배경 색상과 글자색이 완연하게 구별되어 저시력인이 사용하기 좋습니다.

이러한 Windows에서의 고대비를 설정해도 인터넷에서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외국 화면 확대 프로그램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색깔 반전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화면의 크기 문제는 Windows에서 제공하는 돋보기를 활용하거나, 특별한 화면 확대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화면 확대의 경우에는 눈의 정도에 따라 고대비를 활용하지 않는 경우와 고대비를 같이 활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인터넷 상에서 위와 같이 화면을 확대하게 되면 화면의 글자가 일부 나타나지 않거나, 화면의 내용이 오른쪽으로 감춰져 사용하기 어렵게 됩니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이 특별한 화면 확대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웹 문서 자체 내에서 오른쪽으로 화면이 커짐이 없이 글씨 크기 확대 기능을 제공해 주면 저시력인이 사용하기 훨씬 편리하게 됩니다. 또한 저시력인이 자신의 시력에 맞게 화면 배경과 글자색의 색상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여러가지 이유로 잔존시력이 남아 있는 경우가 있는 저시력이 인터넷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글자 크기, 화면 배색 등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 되어야 합니다.

웹의 힘은 그것의 보편성에 있다. 장애에 구애없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The power of the Web is in its universality, Access by everyone regardless of disability is an essential aspect.)

팀 버너스 리 경 - 웹의 창시자 (Tim Berners - Lee , W3C Director and inventor of the World Wide Web)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