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표준은 공항, 철도, 지하철, 패스트푸드점, 영화관 등과 같이 공공 및 민간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무인정보단말기를 장애인도 접근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표준에 따라 설계된 무인정보단말기는 비장애인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애를 지닌 사용자나 고령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애인 접근성이 보장된다.
본 표준에서는 무인정보단말기의 기능 설계, 형태, 조작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무인정보단말기가 설치되는 장소에 대한 요구사항 및 사용자가 무인정보단말기 사용법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요구사항 등, 무인정보단말기의 설치 및 사용에 관련된 폭넓은 요구사항을 다룬다.
본 표준은 ISO/IEC Guide 71 및 『장애인ㆍ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 편의 증진을 위한 지침』(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시)의 요구사항을 근간으로 하며, 따라서 이 표준에서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은 요구사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시를 따른다.
본 표준은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발달장애 및 기타 장애가 있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이 표준에서 고려하는 사용자들의 범주는 다음과 같다.
웹의 힘은 그것의 보편성에 있다. 장애에 구애없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The power of the Web is in its universality, Access by everyone regardless of disability is an essential aspect.)
팀 버너스 리 경 - 웹의 창시자 (Tim Berners - Lee , W3C Director and inventor of the World Wide Web)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