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W3C의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WAI: Web Accessibility Initiatives) 웹 사이트의 "How People with Disabilities Use the Web"을 한글로 번역한 문서입이다. 이 문서는 번역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원문(Original document):
http://www.w3.org/WAI/EO/Drafts/PWD-Use-Web/20050505
번역자(Translator)
노석준 교수(성신여자대학교), 한국정보화진흥원 후원(Sponsored by NIA(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
Date of translation:
2010년 10월 26일
W3C

장애인이 웹을 사용하는 방법

작업반(working-group) 내부 초안, 2005. 5. 5

현 버전:
http://www.w3.org/WAI/EO/Drafts/PWD-Use-Web/20050505
가장 최근 버전:
http://www.w3.org/WAI/EO/Drafts/PWD-Use-Web/
이전 버전:
http://www.w3.org/WAI/EO/Drafts/PWD-Use-Web/20040708
편집자들:
Judy Brewer (jbrewer@w3.org)
또한 감사의 글 절을 보라.

Copyright ©1994-2005 W3C (MIT, ERCIM, Keio), 모든 권리가 보장됨. W3C의 책무성, , 문서 사용,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규정이 적용됨.


요약

이 문서는 장애인들에 의한 웹 사용에 대한 소개를 제공한다. 이 문서는 또한 웹사이트와 웹기반 애플리케이션 사용 시 요구조건들 중 몇 가지를 설명하며, 월드와이드웹컨소시엄(World Wide Web Consortium: W3C)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Web Accessibility Initiative: WAI)의 지침과 기술적인 노력에 대한 지원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문서 현황

이 문서의 현재 버전은 최종적으로 W3C 문서(W3C Note)로 출간할 의도로 작성된 작업반 내부 초안이다. 이것은 W3C에서 관리되는 보다 최신 버전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문서는 WAI 국제프로그램사무국 활동(International Program Office Activity)의 일환으로 교육ㆍ홍보작업반(Education and Outreach Working Group: EOWG)에 의해 발간되었다. 일반인, W3C 구성원, 그리고 작업반으로부터의 코멘트는 wai-eo-editors@w3.org에서 받고 있다. 검토 중인 초안과 문서를 포함한, 일련의 현재 W3C 기술 보고서와 출판물은 http://www.w3.org/TR/에서 찾을 수 있다.

목차

  1. 도입 (Introduction)
  2. 웹을 사용하는 장애인들에 관한 시나리오 (Scenario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the Web)
  3. 웹 접근성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장애들 (Different Disabilities That Can Affect Web Accessibility)
  4. 보조공학과 적응적 전략 (Assistive Technologies and Adaptive Strategies)
  5. 시나리오 참고문헌 (Further Reading)
  6. 일반적인 참고문헌 (Scenario References)
  7. 추가 읽을거리 (General References)
  8. 감사의 말씀 (Acknowledgements)


1. 도입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Web Accessibility Initiative: WAI)는 장애인의 웹 사용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하여 웹사이트, 브라우저, 그리고 저작도구의 접근성을 위한 지침을 개발한다. 웹이 사회에서 엄청나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웹에 대한 접근은 장애인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WAI 자료들에서 기술된 접근성 해결책들 중 상당수는 또한 비장애 사용자들에게도 혜택을 준다.

이 문서는 상이한 종류의 장애인들이 웹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일반적인 개요를 제공한다. 이 문서는 또한 장애인들이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0, 저작도구 접근성 지침(Authoring Tool Accessibility Guidelines) 1.0, 그리고 사용자도구 접근성 지침(User Ag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0에 기술된 규정들로부터 어떻게 혜택을 얻을 수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경지식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문서에서는 장애와 장애인들에 의해 사용되는 보조공학에 관하여 포괄적이거나 심층적인 논의는 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이 문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기술한다.

이 문서는 시나리오, 장애 요건, 보조공학, 시나리오 참고문헌에 관한 절들 간에 많은 내부 하이퍼텍스트 링크들을 포함하고 있다. 시나리오와 일반적인 참고문헌 절들은 또한 외부 문서들에 대한 링크들을 포함하고 있다.

2.웹을 사용하는 장애인들에 관한 시나리오

다음의 시나리오들은 웹에 접근하기 위하여 보조공학과 적응적 전략을 사용하는 상이한 종류의 장애인들을 보여준다. 몇몇 경우, 시나리오들은 웹이 장애인들에게 몇 가지 과제들을 더 쉽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준다.

시나리오들은 실제 개인들이 아니라 오늘날의 웹 테크놀로지와 보조공학을 사용하여 가능한 활동들에 참여하고 있는 개인들을 나타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독자들은 묘사된 사람들과 비슷한 장애를 지닌 모든 사람들이 동일한 보조공학을 사용하거나 그러한 테크놀로지들을 사용하는 데 있어 동일한 수준의 전문기술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가정해서는 안 된다. 몇몇 경우, 접근성을 지원해 주는 특정 기능들을 가지고 있는 브라우저,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보조공학들은 아직 모국어로 이용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장애라는 용어는, 교육기회와 고용기회가 그러한 것처럼, 국가마다 다양하다.

각 시나리오는 3절(section)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는 특정 장애나 장애들에 관한 추가정보에 대한, 4절에서 기술되는 보조공학 또는 적응적 전략들에 대한, 그리고 6절의 시나리오 참고문헌에서 기술되는 상세한 교육과정이나 지침 체크포인트들에 대한 링크들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은 시나리오와 접근성 해결책들(solutions)에 관한 리스트다.

색맹인 온라인 구매자

Lee는 몇 가지 새로운 옷과 전기기구, 음악 CD를 구매하고자 한다. 그가 흔히 하는 것처럼, 그는 밤에 온라인 쇼핑을 한다. 그는 남성에게 가장 흔한 시각장애 중 하나인 색맹을 지니고 있다. 그는 적록 색약을 지니고 있다.

그는 여러 웹사이트에 있는 텍스트를 읽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가 웹을 처음 사용하기 시작했을 때, 그에게 많은 사이트에 있는 텍스트와 이미지는 색상대비가 적절하지 못한 것처럼 여겨졌는데, 그 이유는 그것들이 비슷한 갈색 음영을 사용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그는 많은 사이트들이, 자신이 적록색약이기 때문에 구별할 수 없는, 색깔들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았다. 몇몇 경우, 사이트 사용설명서는 할인 가격은 빨간색으로 나타냈다고 설명했지만, 그에게는 모든 텍스트가 갈색으로 보였다. 다른 경우, 서식에서 반드시 입력해야 하는 필드가 빨간색으로 표시되었으나 또 다시 그는 어느 필드가 빨간 텍스트를 가지고 있는지를 구별할 수 없었다.

Lee는 충분한 색상대비가 사용되고 색상에 대한 적절한 정보가 제공되는 사이트를 더 좋음을 알았다. 그 사이트들은 옷의 색깔 이름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색깔의 샘플을 보여줌으로써, 필수 필드 앞에 *를 하거나 그것들을 색깔별로 나타냄으로써 충분한 색상대비와 색상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

추가적인 실험을 한 후, Lee는 대부분의 새로운 사이트들에서 색상은 스타일시트로 컨트롤되고 있어 자기가 사용하는 브라우저에서 이 스타일시트들을 꺼버리거나 자기 자신의 스타일시트로 덮어쓰기(override) 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그러나 스타일시트를 사용하지 않은 사이트들에서는 그 색상들을 덮어쓰기 할 수 없었다.

마침내, Lee는 그가 제품 색상에 관한 믿을만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어느 품목이 할인되는지를 추측할 필요가 없는 일련의 온라인 쇼핑 사이트들을 북마크했다. 

반복사용 스트레스성 증후군을 지닌 신문기자

Jones는 기사를 온라인 신문으로 출판하기 위하여 HTML로 제출해야 하는 신문기자다. 20여년 이상 동안의 직장생활로 인해 그는 손과 팔에 반복사용 스트레스성 증후군(repetitive stress injury: RSI)이 진전됨에 따라 타이핑하는 것이 상당히 고통스럽다. 그는 기사를 준비하기 위하여 음성인식 프로그램대체 키보드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마우스는 사용하지 않는다. 그가 한 번에 여러 시간 동안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을 정도로 음성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데 충분히 익숙해지는 데에도 몇 달이 걸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아직도 스트리밍 오디오가 있는 웹사이트에서 음성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고자 할 때마다 사운드카드가 충돌하는 것과 같은 해결하지 못한 몇 가지 경우들이 있다.

사무실에서 표준으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이 마우스 구동 명령어를 대체할 필요가 있는 키보드 등가물들(keyboard equivalents) 중 상당부분이 빠져 있어, 그는 동료들이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웹 저작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없었다. 키보드 등가물을 가지고 있지 않는 명령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그는 음성인식 프로그램이나 타이핑하는 것 대신에 마우스를 사용하곤 했는데, 그로 인해 그는 다시 손에 손상을 입었다. 그는 새로운 버전의 저작도구들 중 몇 가지를 검토한 후 키보드를 완전히 지원하는 저작도구를 하나 선택했다. 한 달도 못되어, 그는 동료들 중 몇 사람이 키보드에 대한 완전한 접근이 자신들의 손을 더 편하게 한다는 것을 알고 난 후 자신이 선택한 그 새로운 저작도구로 바꾸었음을 알았다.

다른 기사들을 검토하기 위하여 다른 웹사이트들을 내비게이션할 때, Jones씨는 몇몇 웹페이지들에서 실행되는 접속키(access key) 기능을 좋아한다. 그것은 그가 음성으로 순차적으로 거쳐 가야 하는 긴 링크 리스트들을 간단하게, 그리고 원하는 링크로 곧바로 가는 갈 수 있도록 해준다.

농아인 온라인 학습자

Martinez는 물리학에 관한 몇 개의 원격교육 강좌를 받고 있다. 그녀는 농아(deaf)다. 그녀는 대학교가 온라인 코스웨어를 오디오 강의를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멀티미디어로 업그레이드할 때까지는 교육과정에 거의 문제가 없었다. 교실기반 강좌의 경우, 대학교는 해석자(interpreters)를 제공했다. 그러나 웹기반 교수의 경우, 대학교는 처음에는 접근성이 문제가 된다는 것을 알지 못했으며, 그런 다음 교수자료를 접근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는 방법을 모른다고 했다. 그녀는 대학교도 분명히 온라인 교수자료의 접근성을 요구하는 정책의 적용 대상임을 지적한 후,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1.0(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0)이 멀티미디어를 포함하고 있는 웹사이트도 접근 가능하게 만드는 방법에 관한 지침을 제공해 주는 자원이라고 말했다.

대학교는 해당 강좌들을 전사(transcribed)하고 있으며, 오디오버전 강좌와 더불어, 이 정보를 웹사이트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도입적인 멀티미디어의 경우, 대학교는 오디오와 비디오의 설명을 동기화한 자막을 구현해 주는 SMIL 기반 멀티미디어 포맷을 사용했다. 학교의 정보 관리자들은 웹사이트의 접근 가능한 영역에 있는 오디오 자원들을, 일단 이들 자원들이 텍스트로 자막 처리되면, 통합적으로 색인(index)하는 것이 훨씬 더 쉽다는 것을 금방 알아차렸다.

해당 강좌의 교수는 또한 학생들이 자신들의 수업내용(coursework)에 대한 아이디어들을 교환할 수 있는 웹사이트에 채팅 영역(chat area)을 설정하였다. 비록 그녀는 수업에서 유일한 전맹 학생이였고 다른 학생 단 한 명만이 수화를 알았지만 그녀는 웹기반 채팅 포맷과 학생의 연구에 관한 웹기반 텍스트로 된 코멘트의 제공은 그녀가 수업 진도를 따라갈 수 있도록 해 준다는 것을 재빠르게 알아차렸다.

전맹인 회계사

Laitinen은 회사 인트라넷 상에서 웹기반 포맷이 사용되는 보험회사의 회계사다. 그녀는 전맹이다. 그녀는 화면상에 제시된 것을 해석하고 음성 출력회복성 점자 출력(refreshable braille output)을 해 주는 스크린리더(screen reader)를 사용한다. 그녀는 문서를 신속하게 스캐닝(scanning)하기 위하여 페이지 상에 있는 내비게이션 링크들을 통한 탭(tabbing)으로 조합된 음성 출력을 사용하며, 함께 일하는 사람들은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속도로 음성 출력해 주는 것을 듣는 데 익숙하게 되었다. 그녀는 또한 점자가 그녀로 하여금 페이지 상에 있는 글들을 보다 더 정확하게 읽을 수 있도록 해 주기 때문에 텍스트의 정확한 단어들을 검토하기 위하여 회복성 점자 출력을 사용한다.

회사에서 사용된 웹 문서들에 있는 정보들 중 상당부분이 표(tables)인데, 그것은 때때로 그것을 통해 정보를 습득하기 어려운 사용자들이 읽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회사의 문서에 있는 표들은 스크린리더가 접근할 수 있는 행과 열 헤더(headers)로 명료하게 마크업되어 있어, 그녀는 표에 있는 정보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녀가 사용하는 스크린리더는 사이트에 있는 이미지들에 대한 대체 텍스트를 읽어 준다. 그녀가 빈번하게 참고해야만 하는 보험 코드들은 많은 약어(abbreviations)나 두문자어(acronyms)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녀는 약어와 두문자어가 페이지 상에 처음 나타날 때 이들 약어와 두문자어의 확장(expansion)은 해당 용어들의 간편 버전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줌을 알았다.

회계 담당 선임 직원 중 한 사람으로서, Laitenen은 신임 직원들의 질문들에 대해 더 빈번하게 도와주어야 한다. 그녀는 최근에 화면 디스플레이와 오디오와 정보의 점자 랜더링을 더 잘 동기화해 주는 브라우저로 업그레이드를 하였다. 그것은 그녀로 하여금 동료들을 더 잘 도와줄 수 있도록 해 주었는데, 왜냐하면 스크린이 그녀의 동료들에게 그녀가 음성이나 점자 출력물을 읽고 있는 문서의 동일한 부분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난독증을 지닌 학습자

Olsen은 중학교에 다니며, 특히 문학수업을 좋아한다. 그녀는 난독증과 함께 주의력결핍장애를 지니고 있어 읽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 그러나 교육과정에 대한 최근의 편의제공(accommodation)으로 인해 그녀는 이 수업에 열광적이 되었다.

그녀의 학교는 최근에 교과서를 보충하기 위하여 보다 더 많은 온라인 교육과정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느리게 읽기 때문에 처음에는 읽을 양에 대해 걱정을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그녀는 텍스트를 음성으로 출력해 주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자 시도했으며, 모든 단어에서 어려움을 겪는 대신에 텍스트의 어떤 부분들을 음성합성으로 읽어 주는 것을 들을 수 있을 때 해당 텍스트를 훨씬 더 쉽게 시각적으로 따라 읽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수업의 최근 초점 분야는 Hans Christian Andersen의 작품이며, 그녀는 그 저자에 대해 약간의 연구를 해야 한다. 웹 서핑을 할 때, 그녀는 몇몇 사이트들은 다른 사이트들보다 그녀가 사용하는 것이 훨씬 더 쉽다는 것을 알았다. 몇몇 페이지들은 많은 그래픽을 포함하고 있어서 그녀가 읽기를 원하는 부분들로 신속하게 포커스를 옮길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그러나 그래픽이 애니메이션화되어 있는 몇몇 경우, 그녀는 포커스하는 것이 너무 어려웠고, 애니메이션화된 그래픽에서 옴짝달싹 못하게 되었다.

그녀에게 가장 중요한 것들 중 하나는 웹기반 온라인 도서목록과 웹 상의 일반적인 검색기능에 대한 접근성 수준이다. 종종 검색 옵션은 그녀에게 혼동이 되었다. 그녀의 선생님이 많은 다른 검색 전략들을 가르쳐 주셔서, 그녀는 몇몇 사이트들이 다양한 검색 전략들을 위한 옵션들을 제공하며 그녀에게 더 잘 작동하는 검색 옵션들을 더 쉽게 선택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개인 재정을 관리하는 몇 가지 나이 관련 조건들을 지닌 은퇴자

Yunus는 자신의 가계 서비스와 재정에 관한 몇 가지를 관리하기 위해 웹을 사용한다. 그는 중앙부분에 시력 손실손 떨림, 그리고 약간의 단기기억 상실이 있다.

그는 시력과 손 떨림 때문에 화면확대기를 사용한다. 따라서 웹페이지에 있는 아이콘과 링크들이 더 커서 그것들을 쉽게 선택할 수 있고, 그 결과 스타일시트를 가지고 있는 페이지들을 사용하는 것이 더 쉽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가 처음에 재정 관련 페이지들 중 몇 페이지를 사용하기 시작했을 때, 그는 스크롤링하는 주식 시세 표시기가 정신을 산란하게 하였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너무 빨리 이동해서 읽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종종 페이지들은 그가 다 읽기도 전에 갱신되어 버리곤 하였다. 그 결과, 그는 텍스트가 많이 움직이지 않고 자동으로 갱신되지 않는 웹사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더 선호한다. 그는 또한 몇몇 페이지에서는 “옴짝달짝도 못하고”, 몇몇 사이트에서는 그에게 알리지도 않고 새로운 브라우저 창들이 열려버리곤 하여 되돌아가기도 할 수 없음을 알았다.Yunus는 점차 몇몇 사이트는 그에게 잘 작동함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그는 몇몇 은행, 식료품가게, 그리고 옷 가게 사이트에 대한 맞춤형 프로파일을 작성했다.

인지장애를 지닌 슈퍼마켓 보조원

Sands는 지난해 동안 슈퍼마켓에서 고객들을 위해 식료품을 가방에 넣어 주었다. 그는 다운증후군증을 지니고 있으며, 추상적인 개념, 읽기, 그리고 수학적인 계산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는 항상 이 슈퍼마켓에서 자신의 식료품을 사지만, 종종 자신을 혼동하게 만드는 수많은 제품에 관한 선택이 있으며 자신이 얼마나 많이 소비하고 있는지를 계속적으로 추적하기가 어려움을 알게 되었다. 그는 슈퍼마켓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제품의 진열이 매번 바뀌어 그것이 어디에 있는지를 다시 학습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에 그는 집에서 컴퓨터를 통해 온라인 식료품 서비스를 방문했다. 그는 처음 몇 번은 친구와 함께 그 사이트를 탐색했다. 그는 큰 어려움 없이 해당 웹사이트를 사용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왜냐하면 그것은 많은 사진들이 있었는데, 그것은 그 사이트를 내비게이션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자신이 좋아하는 상표를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의 친구는 그에게 그 사이트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른 검색 옵션을 보여주었는데, 그것은 그가 품목들을 찾는 것을 더 쉽게 해 주었다. 그는 상품 이름별로 또는 사진별로 검색할 수 있지만 대부분 자신이 과거에 주문했던 제품 리스트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옵션을 사용한다. 일단 자신이 사기를 원하는 것을 결정하면, 그는 품목을 선택하고, 그것을 자신의 가상 쇼핑 바구니에 넣는다. 그 웹사이트는 그에게 그가 품목을 첨가할 때마다 갱신된 전체 금액을 알려 주었는데, 이것은 그가 예산을 초과 소비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온라인 식료품 판매부서는 다른 온라인 상점들과 경쟁력이 있기 위해서 자신들의 웹사이트가 높은 사용성을 지니기를 원했다. 그들은 일관성 있는 설계일관성 있는 내비게이션 옵션을 사용했는데, 이것은 고객들이 그 웹사이트에서 자신들의 탐색 경로를 학습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그들은 또한 그 사이트의 콘텐츠에 적합한 가장 간단명료한 언어를 사용했는데, 이것 역시 고객들이 자료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이러한 특성들이 온라인 식료품 고객들 모두에게 그 사이트를 보다 더 사용 가능하도록 만들지만, 그들은 Sands씨도 그 사이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Sands씨는 이제 한 달에 몇 번 온라인 식료품 사이트에서 쇼핑을 하며, 현재는 자신이 일하는 슈퍼마켓에서 매일 몇 개의 신선한 물품들만을 산다.

오락을 하고 싶어 하는 농아이며 전맹인 십대 청소년

Kaseem은 친구 및 동료들과 함께 갈 새로운 레스토랑을 찾기 위하여 웹을 사용한다. 그녀는 약시이며 농아다. 그녀는 자신이 읽을 수 있는 글자 크기까지 웹사이트에 있는 텍스트를 크게 하기 위하여 화면확대기를 사용한다. 화면확대기로도 충분하지 않을 때, 그녀는 또한 천천히 읽는 회복성 점자단말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스크린리더를 사용한다.

Kaseem은 집에서 새롭고 다른 레스토랑을 찾기 위하여 지역 웹사이트를 검색한다. 그녀는 자신의 브라우저에서 개인용 스타일시트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모든 웹페이지들을 그녀의 선호도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녀의 선호도에는 배경색 패턴을 끄는 것도 포함하고 있는데, 이것은 그녀가 화면확대기를 사용할 때 그녀에게 충분한 명도대비를 제공해 준다. 이것은 그녀가 매력적인 레스토랑의 온라인 샘플 메뉴를 읽을 때 특히 도움이 된다.

최근에 Kaseem이 사는 시의 웹사이트에 지역 오락에 관한 멀티미디어 가상 투어(tour) 옵션이 덧붙여졌다. 그 투어는 자막도 있고 내용을 잘 기술하고 있다. 이 오디오에 대한 텍스트 부제목 삽입과 비디오에 관한 설명은 그녀로 하여금 화면확대기와 점자의 조합을 사용하여 그것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가상 투어를 위해 사용된 인터페이스는 그녀가 사용하는 보조공학이 무엇이든, 즉 화면확대기, 회복성 점자단말기를 장착한 스크린리더 또는 휴대용 점자 장치로도 접근 가능하다. Kaseem은 친구에게 웹사이트 주소를 보내고 자신과 함께 그 투어에서 찾은 레스토랑들 중 몇 곳을 가고 싶은지 물었다.

그녀는 또한 레스토랑 근처의 기차나 버스정류장을 찾기 위하여 공공운송 사이트들을 체크한다. 버스일정 웹사이트는 의미 있는 제목이 없는 프레임, 분명한 행과 열 제목이 없는 표가 있어 그녀는 종종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찾으려고 할 때 길을 잃어버리곤 하였다. 그러나 기차일정 웹사이트는 웹사이트에 있는 프레임들이 유의미한 제목을 가지고 있고, 심지어 화면 디스플레이를 확대했을 때조차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명확한 행과 열 제목을 가진 긴 표로 배열된 일정표 때문에 사용하기가 쉬웠다.

그녀는 또한 종종 시내에 있는 쇼핑몰에서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정보 키오스크(kiosk)에서 추가 정보를 얻고 방향을 알기 위해서 적외선이 연결된 휴대용 점자장치를 사용한다. 그녀는 레스토랑에 있을 때 몇 번 샘플 메뉴들을 자신의 점자장치로 다운로드 받았는데, 그 결과 그것들을 접근 가능한 형태로 볼 수 있었다.

3. 웹 접근성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장애들

이 절은 웹에 접근하는 데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일반적인 종류의 장애들을 기술한다.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장애의 범주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러한 것은 없다. 흔히 사용되는 장애에 관한 용어는 국가마다, 동일한 국가 내에서도, 다른 장애공동체들 간에도 차이가 있다. 많은 장애공동체 내에서 의학적인 분류 대신에 기능적인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 문서에서는 용어의 문제들을 포괄적으로 답하고자 하지는 않는다.

능력(abilities)이란 사람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일한 형태의 장애를 지닌 다른 사람들마다 차이가 있다. 사람들은 다른 장애의 조합과 다양한 심각성의 수준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이 문서에서는 “장애(disability)"라는 용어가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기술된 조건들을 지닌 몇몇 사람들은 자신들이 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들은 웹에 접근하는 데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감각적, 신체적, 또는 인지적 기능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손상 관련, 나이 관련(ageing-related) 조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시적 또는 만성적인 것일 수 있다.

제약(limitations)의 수와 심각성 정도는 사람들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시력, 청각, 기억, 또는 운동기능에서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나이 관련 조건들은 장애인들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 동일한 접근성 해결책들을 통해 웹에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때때로 다른 장애들도 비슷한 편의 제공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전맹인 사람과 손을 사용할 수 없는 사람 모두 브라우저와 저작도구들에서 마우스 명령어와 동등한 완전한 키보드 접근을 요구하는데, 그들 모두 마우스를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지니고 있지만 표준 키보드 인터페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명령어를 활성화하기 위해 보조공학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문서에서 기술된 많은 접근성 해결책들은 비장애 사용자들뿐만 아니라 장애인들에게도 혜택을 주는 “보편적 설계(universal design)"[또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설계(design for all)"라고 불림]에 기여한다. 예를 들어, 음성 출력 지원은 전맹인 사용자들뿐만 아니라 눈이 다른 업무들을 하는 데 바쁜 웹 사용자들에게도 도움이 된다. 한편, 오디오에 대한 자막은 농아 사용자들에게도 혜택이 될 뿐만 아니라 웹사이트에 있는 오디오 콘텐츠에 대한 인덱싱(indexing)과 검색의 효율성을 증가시켜 준다.

일반적인 유형의 장애에 관한 각각의 기술(description)에는 그러한 장애인이 웹에서 접할 수 있는 그러한 종류의 장애들에 관한 몇 가지 간략한 예들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열거된 장애들은 예시를 든 것이며 모든 것을 포괄하지는 않는다. 다른 곳에서 언급한 것을 제외하고, 여기에 열거된 장애 예들은 기존의 접근성 해결책들로서도 상대적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접근성 문제들 중 대표적인 것들이다.

다음은 웹에서 접근성 장애와 관련된 몇몇 장애 리스트다.

시각장애

전맹 (시나리오 - "회계사")

전맹(blindness)은 양쪽 눈이 상당히, 치유할 수 없을 정도로 시력에 손상을 입은 것을 말한다.

전맹인 많은 사람들은 웹에 접근하기 위해서 화면(모니터)상에 있는 텍스트를 읽어주며 정보를 음성합성이나 회복성 점자단말기에 출력해 주는 스크린리더에 의존한다. 전맹인 몇몇 사람들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브라우저에 스크린리더를 덧붙이는 대신에 링스(Lynx)와 같은 텍스트기반 브라우저들이나 음성 브라우저들을 사용한다. 그들은 페이지에 있는 모든 단어를 순서대로 읽는 것 대신에 탭을 이용하여 제목이나 링크들로 가는 것과 같은 보다 빠르게 내비게이션할 수 있는 전략들을 사용할 수 있다.

전맹인 사람들이 웹에서 접할 수 있는 장애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약시 (시나리오 - "십대 청소년"과 "은퇴자")

예를 들어, 약시(low vision)(선명하지 않은 시력), 터널시(tunnel vision)(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부분의 중간만을 볼 수 있음), 중앙부분 손상(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부분의 바깥부분만을 볼 수 있음), 그리고 침침한 시력과 같은 여러 가지 유형의 약시(유럽의 일부에서는 “부분적인 시력”으로 알려져 있음)가 있다.

약시를 지닌 몇몇 사람들은 웹을 사용하기 위하여 대형 모니터를 사용하며 시스템 글자체와 이미지의 크기를 늘린다. 다른 사람들은 화면확대나 화면확장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몇몇 사람들은 검은 배경색에 24포인트 밝은 노랑색 글자와 같은 텍스트와 배경 색깔의 특별한 조합을 사용하거나 특정한 시각적 요건에 특히 쉽게 읽을 수 있는 특정 글꼴을 선택한다.

약시를 지닌 사람들이 웹에서 접할 수 있는 장애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색각장애 (시나리오 - "쇼핑하는 사람")

색각장애(color blindness)는 어떤 색상에 대한 예민함이 결여된 것이다. 흔한 색각장애 형태로는 빨간색과 녹색, 또는 노란색과 파란색 간을 구별하지 못하는 것이다. 종종 색각장애는 어떤 색깔을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색각장애를 지닌 몇몇 사람들은 웹을 사용하기 위하여 글자색상과 해당 콘텐츠 저자 지정(author-specified) 배경색을 대체하기 위하여 자신의 스타일시트를 사용한다.

색각장애인들이 웹에서 접할 수 있는 장애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청각장애

농아 시나리오 - "온라인 학습자")

농아(deafness)는 양 귀가 상당히, 치유할 수 없을 정도로 청각에 손상을 입은 것을 말한다. 몇몇 사람들의 제1언어는 수화(sign language)이며, 그들은 글로 쓰인 것을 유창하게 읽거나 분명하게 말할 수도 있고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많은 농아인들은 웹을 사용하기 위해 오디오 콘텐츠에 대한 자막에 의존한다. 그들은 페이지를 브라우징할 때 오디오 파일에 있는 자막을 켤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은 페이지 상에 있는 것을 읽는 데 집중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할 수 있으며, 텍스트를 강조하기 위해 보충적인 이미지에 의존할 수도 있다.

농아인들이 웹에서 접할 수 있는 장애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난청

약간에서 중간 정도의 청각장애인들은 난청(hard of hearing)이라고 할 수 있다.

난청인 사람들은 웹을 사용하기 위해서 오디오 콘텐츠의 경우 자막이나 오디오를 크게 높여 들을 수 있는 것에 의존한다. 그들은 오디오 파일에 있는 자막들을 켜거나 끌 수 있거나 또는 오디오 파일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난청인 사람들이 웹에서 접할 수 있는 장애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지체장애

운동장애 (시나리오 - "신문기자")

운동장애(motor impairments)는 허약, 근육 조절 제한(불수의적 이동, 조정의 결여, 또는 마비와 같은), 감각의 결여, 관절 문제, 또는 사지가 없는 것을 포함한다. 몇몇 지체장애는 이동을 저해하는 고통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은 손과 팔뿐만 아니라 신체의 다른 부분들에까지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손과 팔에 영향을 미치는 운동에 장애를 지닌 사람들이 웹사이트에 있는 정보에 접근하고 상호작용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마우스, 손의 움직임 범위 내에서 도달할 수 있도록 키들이 배열된 키보드, 헤드마우스(head-mouse), 헤드포인터(head-pointer), 또는 마우스 스틱(mouth-stick)과 같은 포인팅 장치, 음성인식 소프트웨어, 눈초점인지(eye-gaze) 시스템, 또는 다른 보조공학을 사용할 수 있다. 그들은 명령어들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동시에 여러 개를 키스트로크["화음(chording)"]하는 것보다 헤드포인터를 사용하여 한 번에 하나씩 키스트로크(single keystroke)함으로써 명령어들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들이 각각의 키스트로크를 선택하기 위하여 집중하거나 신중하게 조작해야 한다면 웹사이트에 있는 상호작용적인 서식을 기입할 때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손이나 팔에 영향을 미치는 지체장애를 지닌 사람들이 웹에서 접할 수 있는 장애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언어장애

언어장애

언어장애(speech disability)는 높낮이나 명쾌함의 측면 중 하나에서 몇몇 음성인식 소프트웨어에 의해 인지할 수 있는 음성을 만들어 내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을 포함한다.

언어장애인들이 음성인식에 의존하는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와 같은 대체 입력 모드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언어장애인들이 웹에서 접할 수 있는 장애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인지, 신경장애

시ㆍ청각적 지각 (시나리오 - "교실 학습자")

난독증(호주, 캐나다, 미국, 그리고 몇몇 다른 나라들에서는 종종 “학습장애(learning disabilities)”라 불림)과 계산 불능을 포함한, 시ㆍ청각적 지각 장애인들은 언어나 숫자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들은 들었을 때 구어(spoken language)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청각적 지각 장애"). 그들은 또한 공간적인 방향감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시ㆍ청각적 지각 장애인들이 웹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동시에 몇 가지 유형의 자료들을 통해 정보를 얻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읽기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은 이해력을 촉진하기 위해 스크린리더와 합성된 음성을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청각적인 처리 장애인은 오디오 트랙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하여 자막을 사용할 수 있다.

시각과 청각적인 지각 장애인들이 웹에서 접할 수 있는 장애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주의력결핍장애 (시나리오 - "교실 학습자")

주의력결핍장애(attention deficit disorders)를 지닌 사람은 정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주의력결핍장애인들이 웹을 사용하려면, 사이트의 콘텐츠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이트에 있는 애니메이션을 끌 필요가 있다.

주의력결핍장애인들이 웹에서 접할 수 있는 장애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지적장애 (시나리오 - "슈퍼마켓 보조원")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ies)[유럽에서는 종종 “학습장애(learning disabilities)", 미국에서는 “발달장애(developmental disabilities)” 또는 그 이전에는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라 불림]를 지닌 사람들은 복잡한 개념을 보다 느리게 학습하거나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다운증후군(Down Syndrome)은 지적장애의 많은 다른 원인들 중 하나다. 지적장애인들이 웹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하며, 사이트에 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그래픽에 더 의존할 수 있고, 사이트의 의도된 목적을 위해 불필요하게 복잡하지 않는 언어수준으로 쓴 사이트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지적장애인들이 웹에서 접할 수 있는 장애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기억장애 (시나리오 - "은퇴자")

기억장애(memory impairments)를 지닌 사람들은 장기기억을 놓칠 수 있는 단기기억에 문제가 있거나 언어를 회상할 수 있는 능력에 어떤 손상이 있을 수 있다.

기억장애인들이 웹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이트 전체에서 일관성 있는 내비게이션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지적장애인들이 웹에서 접할 수 있는 장애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정신건강장애

정신건강장애(mental health disabilities)를 지닌 사람들은 웹사이트에 있는 정보에 초점을 맞추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의약품의 부작용으로 인해 흐릿한 시력이나 손 떨림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정신건장 장애인들이 웹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 요소들을 끄거나 화면확대기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정신건강장애인들이 웹에서 접할 수 있는 장애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발작장애

몇몇 유형의 간질(epilepsy)(광과민성 간질 포함)을 지닌 사람들을 포함하여, 발작장애(seizure disorders)를 지닌 몇몇 사람들은 어떤 주기(frequencies)로 시각적으로 깜빡거리거나 오디오 신호에 의해 발작을 일으킨다.

발작장애인들이 웹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애니메이션, 깜빡거리는 텍스트, 또는 특정 오디오 주기를 끌 필요가 있다. 웹사이트에서 이러한 시각적 또는 오디오 주기를 피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은 발작을 일으키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

발작장애인들이 웹에서 접할 수 있는 장애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중복장애 (시나리오 - "십대 청소년")

장애의 중복은 접근성 정보를 사용하는 데 있어 사용자의 융통성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맹인 사람은 웹기반 비디오의 오디오 설명을 들음으로써 혜택을 받을 수 있고, 농아인은 오디오와 함께 제공되는 자막을 봄으로써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반면, 농아이면서 동시에 전맹인 사람은 회복성 점자단말기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오디오와 비디오의 설명을 담고 있는 텍스트 원고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전맹이면서 약시인 사람은 오디오 파일에 있는 자막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자막이 확대될 수 있고 색상대비도 조절될 수 있을 때에만 그러하다.

손을 움직일 수 없고 화면을 잘 볼 수 없는 사람은 음성 입력과 음성 출력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문서에서 위치에 관한 정확한 표시와 내비게이션 옵션에 의존할 필요가 있다.

나이 관련 조건 (시나리오 - "은퇴자")

나이가 들어감으로 인한, 인간의 기능적인 능력에서의 변화는 시력, 청각, 기민함과 기억을 포함한 능력이나 능력의 조합에서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나이 관련 조건 장애들은 위에서 이미 언급된 문제들 중 어떠한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약 중 어느 하나라도 웹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한 개인의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들은 수용하기가 더 복잡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시인 사람은 화면확대기를 필요로 할 수 있다. 그러나 화면확대기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단기기억을 상실한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경험할 수 있는, 어려움이 가중되는 주변적인 맥락적 정보를 잃어버린다.

4. 보조공학과 적응적 전략

보조공학(assistive technology)은 장애인들이 그렇지 않으면 달성할 수 없거나 그렇지 않으면 쉽게 할 수 없는 과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장애인들에 의해 사용되는 제품이다. 컴퓨터를 사용할 때, 보조공학은 때때로 적응적(adaptive)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라 일컬어진다.

몇몇 보조공학은 그래픽적인 데스크톱 브라우저, 텍스트 브라우저, 음성 브라우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플러그인(plug-ins)과 함께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 글자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능력과 같이, 몇몇 접근성 솔루션들은 운영체제 속에 구축되어 있거나 다중 키스트로크 명령어들이 단일 키스트로크의 순서대로 입력될 수 있도록 운영체제를 환경설정한다.

적응적 전략들은 장애인이 컴퓨터나 다른 장치들을 사용하는 데 있어 도움을 받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들이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를 볼 수 없는 사람은 콘텐츠를 건너뛰기하는 데 도움을 받기 위하여 페이지 상에 있는 링크들을 탭을 통해 건너뛸 수 있다.

다음은 아래에서 기술된 보조공학과 적응적 전략 리스트다. 이것은 결코 그러한 모든 기법이나 전략을 포괄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위의 사나리오에서 강조된 예들에 관한 설명이다.

대체 키보드나 스위치 (시나리오 - "신문기자")

대체 키보드나 스위치(alternate keyboard or switches)는 지체장애인에 의해 사용되는, 표준 키보드에서 나오는 대로 보이는 키스트로크를 만드는 대체방법을 제공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장치다. 예로는 매우 작거나 매우 큰 키 공간(key spacing)을 가지고 있는 키보드, 한 번에 하나의 키만 누를 수 있도록 해 주는 키지침대(keyguards), 화면 키보드(on-screen keyboards), 눈초점인지 키보드(eyegaze keyboards), 그리고 입으로 불고 빨기가 가능한 스위치(sip-and-puff switches)가 있다. 어떠한 마우스 조작 없이 키보드로 완전히 작동시킬 수 있는 웹기반 애플리케이션들은 광범위한 입력 대체 양식(modalities)을 지원한다.

점자와 회복성 점자단말기 (시나리오들 - "회계사"와 "십대 청소년")

점자(Braille)는 손가락끝(fingertips)으로 읽을 수 있는 문자와 숫자를 표현하기 위하여 여섯 개에서 여덟 개까지의 약간 융기되어 있는 점들이 다양한 유형으로 사용되고 있는 시스템이다. 점사시스템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다양하다. 점자의 몇 가지 "등급(grades)"에는 점자를 보다 간결하게 만들기 위하여 흔히 사용되는 문자 그룹(예: Grade II 미국 영어 점자에서는 "th," "ble")을 나타내기 위해 표준 알파벳과 숫자 문자들 외에 부가적인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 8점 점자는 모든 ASCII 문자들이 표현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회복성 또는 역동적인 점자단말기는 어떤 점자 문자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점(핀)이 역동적으로 오르락내리락 할 수 있는 기계적인 단말기를 사용한다. 회복성 점자단말기는 소형 컴퓨터의 성능을 갖춘 이동 가능한 점자 장치를 통합할 수 있는데, 그것은 또한 정보 키오스크와 같은 장치들에 대한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도 있다.

스캔 소프트웨어

스캔 소프트웨어(scanning software)는 선택된 부분(예: 메뉴 항목, 링크, 구문)을 한 번에 하나씩 강조하거나(highlight) 읽어주는, 몇몇 지체 또는 인지장애인들에 의해 사용되는 적응적 소프트웨어(adaptive software)다. 사용자는 원하는 것이 강조되거나 읽혀질 때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원하는 항목을 선택한다.

화면확대기 (시나리오들 - "십대 청소년"과 "은퇴자")

화면확대기(screen magnification)는 보다 쉽게 볼 수 있도록 화면의 일부를 확대하는, 약시를 지닌 사람들에 의해 주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다. 화면확대기는 프레젠테이션을 더 크게 함과 동시에, 둘러싸고 있는 맥락(context)을 없앰으로써 볼 수 있는 문서의 영역을 축소할 수 있다. 몇몇 화면확대기는 화면을 둘로 나누어 보여준다. 즉, 한 쪽은 확대된 내용을, 다른 한 쪽은 내비게이션을 위해 내용을 원래 크기로 보여준다.

스크린리더 (시나리오들 -- "회계사" 와 "십대 청소년")

전맹이나 난독증이 있는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는, 화면상에 무엇이 제시되었는지를 해석하고, 그것을 오디오출력을 위한 음성합성이나 촉감 출력을 위해 회복성 점자 중 하나로 내보내는 소프트웨어다. 몇몇 스크린리더는 입력으로서 문서구조(document tree)(예: 해독된 문서 코드)를 사용한다. 오래된 스크린리더는 랜더링된 문서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문서의 순서나 구조를 상실해 버릴 수 있어(예: 표가 배치를 위해 사용되었을 때) 출력되는 것이 혼동을 유발할 수도 있었다.

음성인식

음성인식(speech /voice recognition)은, 몇몇 음성 브라우저에서 입력방법으로서, 지체장애나 손이나 팔뚝이 일시적으로 손상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키보드를 완전히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도 음성인식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음성합성 (speech output) (시나리오 -- "회계사")

음성합성(speech synthesizer) 또는 음성출력(speech output)은 스크린리더나 음성 브라우저에 의해 만들어지며, 텍스트로부터 디지털화된 음성을 출력한다. 음성출력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종종 그것을 매우 고속으로 듣는다.

구조적인 요소를 통해 탭하기 (시나리오 -- "회계사")

몇몇 접근성 솔루션들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같은 특별한 보조공학이라기보다는 적응적 전략(adaptive strategies)이다. 예를 들어, 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는 사람의 경우, 웹페이지에 있는 링크, 제목, 리스트 항목, 또는 다른 구조적인 항목들을 재빠르게 스캔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은 해당 항목들을 순차적으로 이동하기 위해 탭(tab)키를 사용하는 것이다. 음성인식을 사용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전맹나 난독증이 있어 스크린리더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페이지상에서 탭키를 사용하여 항목들을 이동한다.

텍스트 브라우저

링스(Lynx)와 같은 텍스트 브라우저(text browser)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브라우저들에 대한 대체수단이다. 그것은 전맹인 사람들의 경우 스크린리더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저대역 인터넷 접속률을 가지고 있거나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기다리기를 원치 않는 많은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시각적인 공지

시각적인 공지(visual notification)는 농아나 난청 사용자들이 일반적으로 소리로 전달되는 경고나 오류 메시지에 대한 시각적 경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몇몇 운영체제에 포함되어 있는 대체 속성이다.

음성 브라우저

음성 브라우저(voice browser)는 음성구동(voice-driven) 내비게이션을 가능하게 해주는 시스템으로, 어떤 것은 음성입력과 음성출력 모두 가능하며, 어떤 것은 전화기반(telephone-based) 웹 접근이 가능하다.

5. 시나리오 참고문헌

이 절은 위의 시나리오 절에서 강조된 구체적인 접근성 규정을 위한 예시 링크들을 포함하고 있다.

몇몇 링크들은 WCAG(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0, ATAG(Authoring Tool Accessibility Guidelines) 1.0, 또는 UAAG(User Ag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0에 있는 체크포인트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다른 링크들은 WCAG 1.0을 위한 교육과정(curriculum)에 있는 예들로 연결되어 있다.

이 절에서는 세 가지 가이드라인들에 있는 접근성 규정들 모두를 열거하지는 않았다.

대체 텍스트 제공 (시나리오 -- "회계사")

색상 조절 (시나리오 -- "온라인 구매자")

프레젠테이션을 스타일시트로 조절 (시나리오들 -- "온라인 구매자" 와 "은퇴자")

콘텐츠 저자의 스타일시트를 사용자의 스타일시트로 덮어쓰기 (시나리오들 -- "온라인 구매자" 와 "십대 청소년")

완전한 키보드 지원 제공 (시나리오 -- "신문기자")

단축키를 위한 접근키 사용 (시나리오 -- "신문기자")

멀티미디어를 접근 가능하게 만들기 (시나리오들 -- "온라인 학습자" 와 "십대 청소년")

표에서 열과 행 제목 사용 (시나리오들 -- "회계사" 와 "십대 청소년")

약어와 두문자어 확장 (시나리오 -- "회계사")

화면표시를 정보의 오디오 및 점자 랜더링과 동기화 (시나리오 -- "회계사")

그래픽이나 오디오 프레젠테이션이 포함된 텍스트 보충 (시나리오들 -- "온라인 학습자," "십대 청소년," "슈퍼마켓 보조원")

움직이는 맥락(moving context)과 스크롤링 텍스트 정지 (시나리오들 -- "온라인 학습자" 와 "은퇴자")

자동 갱신 페이지 지양 (시나리오 -- "은퇴자")

팝업(pop-up)" 창 지양 (시나리오 -- "은퇴자")

명료하고 일관성 있는 내비게이션 메커니즘 사용 (시나리오 -- "슈퍼마켓 보조원")

가장 간단명료한 언어의 적절한 사용 (시나리오 -- "슈퍼마켓 보조원")

페이지 전체에서 일관성 있는 프레젠테이션 스타일 사용 (시나리오 -- "슈퍼마켓 보조원")

장치 독립성 제공 (시나리오 -- "십대 청소년")

프레임 표시 (시나리오 -- "십대 청소년")

다중 검색 유형 제공 (시나리오 -- "슈퍼마켓 보조원")

6. 일반적인 참고문헌

[ATAG10]
"Authoring Tool Accessibility Guidelines 1.0", J. Treviranus, C. McCathieNevile, I. Jacobs, and J. Richards, eds., 3 February 2000. W3C Recommendation: http://www.w3.org/TR/2000/REC-ATAG10-20000203/. 
[WCAG-CURRIC]
"Curriculum for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SMIL]
"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UAAG10]
"User Agent Accessibility Guidelines", J. Gunderson and I. Jacobs, eds., 28 July 2000. W3C Recommendation: http://www.w3.org/TR/2002/REC-UAAG10-20021217/.
[WCAG10]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0", G. Vanderheiden, W. Chisholm, and I. Jacobs, eds., 5 May 1999. W3C Recommendation: http://www.w3.org/TR/1999/WAI-WEBCONTENT-19990505/.
[WAI-Home]
"WAI Home Page", 1997-2000. http://www.w3.org/WAI/.
[WAI-Resources]
"WAI Resources", 2000-2001. http://www.w3.org/WAI/Resources/.

7. 추가 읽을거리

장애에 대하여

웹에는 아주 많은 장애에 대한 정보가 있다. 핵심은 웹 접근성에 관한 문제에 적절한, 그리고 정확하고 최신의 정보를 찾는 것이다. 해당 정보가 어떠한 관점에서 써졌는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에를 들어, 웹에는 많은 다른 질병들에 관한 정보들이 있지만, 의학적인 세부사항들은 장애인들이 웹을 사용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에는 장애인 자신들의 관점보다는 덜 적절할 수 있다. 웹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공학에 대한 정보, 그리고 정보통신공학(ICT)을 사용하기 위한 접근성 전략에 초점을 둔 기관으로부터의 정보도 마찬가지다. 정보를 찾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이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에 관하여 웹 검색을 해보는 것이다.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Web Accessibility Initiative: WAI)에 대하여

W3C의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Web Accessibility Initiative: WAI)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보완적인 활동을 통해 웹 접근성을 다루고 있다.

WAI의 국제프로그램사무국(International Program Office)은 접근 가능한 웹을 개발하는 데 관심을 갖고 있는 산업체, 장애인 단체, 접근성 연구기관, 그리고 정부와 협력을 하고 있다. WAI 후원자로는 미국 교육부의 국가장애재활연구센터(National Institute 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Research), 유럽위원회(European Commission)의 정보사회공학프로그램(Information Society Technologies Programme), 캐나다의 캐나다산업부(Industry Canada), Fundacion ONCE, HP, IBM, Microsoft, SAP, Verizon재단, 그리고 Wells Fargo가 포함된다. WAI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는 http://www.w3.org/WAI/에 이용할 수 있다.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orld Wide Web Consortium: W3C)에 대하여

W3C는 웹의 진보와 증진하며 그것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는 공통된 프로토콜을 개발함으로써 웹의 잠재성을 최대한 발현할 수 있도록 이끌어 가기 위하여 창립되었다. W3C는 미국 MIT의 컴퓨터과학ㆍ인공지능연구소(Computer Sc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aboratory: CSAIL), 프랑스의 국립컴퓨터과학ㆍ통제연구센터(National Institute for Research in Computer Science and Control: INRIA), 그리고 일본의 게이오대학교(Keio University)에 의해 공동으로 운영되는 국제산업컨소시엄이다. 컨소시움이 제공하는 서비스들로는 개발자와 사용자들을 위한 웹 정보 레포지토리(repository), 표준을 수록하고 증진하기 위한 참고코드(reference code) 실행, 그리고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사용을 시범보여주기 위한 다양한 프로토타입(prototype)과 예제 애플리케이션들이 있다. W3C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는 http://www.w3.org/에서 볼 수 있다.

8. 감사의 말씀

우리는 이 문서에 상당히 기여한 다음과 같은 사람들에게 감사드린다:

Some initial material drawn from Gregg Vanderheiden and Kate Vanderheiden. Additional contributions from Kathleen Anderson, Andrew Arch, Harvey Bingham, Helle Bjarn, Alan Cantor, Alan Chuter, Dave Clark, Libby Cohen, Cynthia Curry, Deborah Dimmick, Sylvie Duchateau, Julie Howell, Ian Jacobs, Marja-Riitta Koivunen, Chuck Letourneau, William Loughborough, Charles McCathieNevile, Sailesh Panchang, Doyle Saylor, Sheela Sethuraman, Henk Snetselaar, Jeff Turner, Carlos Velasco, Eric Velleman, 그리고 교육ㆍ홍보작업반(Education and Outreach Working Group) 참여자들.